반응형 전체 글84 지구 중심설(천동설)의 역사 목차 ● 에우독소스의 동심천구● 아폴로니우스의 주전원● 프톨레마이오스 체계● 프톨레마이오스 이후● 유럽에서의 수용과 전개 에우독소스의 동심천구 기원전 4세기경에 고대 그리스의 에우독소스는 우주의 모습이 지구를 중심으로 여러 층으로 겹친 천구가 감싸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가장 바깥쪽의 천구는 항성이 아로새겨진 항성구로, 하늘의 북극을 축으로 하여 하루에 걸쳐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하며 일주운동이 일어납니다. 태양이 포함된 천구는 항성구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1년에 걸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며 연주운동이 일어납니다. 태양의 회전축은 항성구의 회전축에 대하여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1년 동안 남중고도가 변하고 계절이 바뀌는 것에 대하여설명이 됩니다. 항성구와 태양 사이에 행성이 운행하는 천구를 두.. 2024. 12. 28.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 '블랙홀' 목차 ●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 블랙홀의 특이점 블랙홀 블랙홀(black hole)은 중성자 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한 후 수축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입니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충분하게 밀집되어 있는 질량이 시공을 뒤틀어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합니다.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이라고 합니다. 어떤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갈 경우, 그 물체에게는 파멸적인 영향력이 가해지겠지만, 바깥 관찰자에게는 속도가 점점 느려져 그 경계에 영원히 닿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블랙홀은 빛을 반사하지 않기에 이상적 흑체처럼 행.. 2024. 12. 27. 천문학사의 근대 이후의 역사 목차 ● 근대 이후● 산업 혁명● 천체 물리학과 통계 천문학● 전파 천문학 근대 이후 천체 망원경에 의한 실제 관측과 천체 역학에 의한 이론 계산은 근대 천문학의 무기가 되었습니다. 이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여러 천체의 발견과 예측이 계속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1930년까지 태양계의 범위는 예전부터 있었던 토성에서 명왕성으로 약 5배가 확장되었으며, 태양계의 구성 내용은 태양, 행성, 위성 이외에도 혜성, 소행성, 유성체 등 다양하게 되었습니다. 관측과 계산이 정밀하고 정확해짐에 따라 지구의 운동도 점차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기원전 2세기경에 발견된 세차운동 이외에도 1745년에 장동, 1891년에 위도 변화를 발견하였는데, 이들은 지구 자전에 따른 이론적 결론과 일치하였습니다. 또한 1676년에는 목성의.. 2024. 12. 26. 자연과학의 가장 오래된 역사 '천문학사' 목차 ● 고대 시대● 중세 시대● 근대 시대 천문학사는 자연 과학으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상고 시대부터 인류 문명과 함께 발달해 왔습니다. 천문학의 기원은 선사 시대의 신화적, 종교적, 점성술적인 행사에 기원합니다. 그 흔적은 민간과 관영의 천문학에 뒤섞여 수백 년 전에야 분리된 서양의 점성술에서도 남아 있습니다. 초기의 천문학에서는 관측할 수 있는 태양, 달, 별, 행성과 같은 천체의 규칙적인 이동 양식을 관찰하였습니다. 태양이 뜨거나 지는 곳이 지평선상에서 위치를 바꾼다거나 계절마다 보이는 별들의 움직임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여 농사나 종교적 의식을 위한 시기를 정하였습니다. 문화에 따라서는 이런 자료가 예언에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천문학의 역사는 연대의 추이와 변화에 따라서 내용.. 2024. 12. 25. 나선은하의 구조 목차 ● 구조● 나선팔● 은하팽대부● 은하구● 가장 오래된 나선은하 구조나선은하는 5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별과 성간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평탄하고 회전하는 원반- 타원은하와 유사하게 주로 늙은 별로 구성되어 있는 중심의 항성 팽대부- 많은 구상성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형에 가까운 별의 헤일로- 팽대부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의 블랙홀- 일반적인 회전곡선에 의하여 드러난 구형에 가까운 암흑물질의 헤일로 상대적으로 중요한 크기, 밝기, 질량의 요소에 대해서는 은하마다 각각 다릅니다. 나선팔 나선팔(spiral arm)은 나선은하의 중심부에서 뻗어 나오는 별의 영역입니다. 이들은 나선형의 길고 얇은 영역인데, 그래서 이러한 구조를 가진 은하의 이름이 나선은하라고 명명되었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서로 .. 2024. 12. 24. 명왕성의 5개의 위성 목차 ● 카론● 히드라와 닉스● 케르베로스● 스틱스 명왕성에는 5개의 위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추가로 더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1978년 제임스 크리스티가 발견한 카론과, 2005년 발견된 닉스와 히드라, 2011년 발견된 케르베로스, 그리고 2012년 발견된 스틱스, 이렇게 5개의 위성입니다. 명왕성의 위성들은 다른 행성계에 비하여 유난히 명왕성 가까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해왕성의 위성 프사마테는 해왕성을 힐 권의 40% 반경에서 공전하지만. 명왕성의 경우에는 위성들이 명왕성의 힐 권 반경의 최대 53% 거리에서 (역행 궤도로 돈다면 최대 69%) 공전 가능하지만, 모든 위성들은 힐 권 안쪽 3% 반경 이내에 위치합니다. 발견자의 의견에 따르면, 명왕성계는 고도로 압축.. 2024. 12. 2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