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9

토성의 특징과 토성의 위성 목차 ● 토성의 특징● 토성의 고리● 토성의 위성 토성의 특징 토성(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 있는 태양계의 행성입니다.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에서 목성에 이어서 두 번째로 크고, 지름은 약 12만 km로 지구의 9.1배입니다. 부피는 무려 약 760배에 달합니다. 그에 비해 질량은 지구의 약 95배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토성의 중력은 지구와 비슷합니다. 또 토성은 목성, 천왕성, 해왕성과 함께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됩니다. Saturn은 로마의 신 "사투르누스(Saturnus)"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영어로 토요일을 나타내는 Saturday도 여기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아버지인 크로노스, 바빌로니아에서는 니누르타(Ninurta)에 해당됩니다. 또 토성은 J.. 2024. 12. 9.
목성의 가장 큰 네 위성(갈릴레이 위성) 목차 ●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뜻합니다. 이들은 목성의 위성 중에서 크기가 큰 천체에 해당되며, 이름은 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의 연인들의 이름을 따서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라고 지었습니다. 이 위성들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8개의 행성을 제외하면 가장 큰 위성입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그 어떤 왜행성보다 지름이 큽니다. 가니메데, 유로파, 이오, 이 세 개의 위성은 각각 1:2:4의 비율로 궤도 공명을 하면서 공전합니다. 이오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데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입니다. 지름은 3,642km로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큰.. 2024. 12. 8.
우주 탐사선을 통한 목성 탐사 목차 ● 플라이바이 임무● 갈릴레오 임무● 주노 임무 1973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무인 우주 탐사선들이 목성에 방문하였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파이오니어 10호로 처음으로 목성 가까이에 접근해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의 특성과 그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자세하게 보여준 우주 탐사선입니다. 태양계 내의 다른 행성으로 우주 비행을 하기 위해선 우주선 속도의 순변화량, 또는 델타 v로 표현되는 에너지가 요구됩니다. 지상에서 지구 저궤도에 이르기 위하여 요구되는 델타 v는 9.7Km/s인데, 지구 저궤도에서 목성까지 호만 전이 궤도로 비행하기 위해선 6.3Km/s라는 상당한 양의 델타 v가 요구됩니다. 그래서 이런 방법으로는 목성까지 향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다행히 우주 비행에 더 오랜 시간이 소요.. 2024. 12. 7.
목성의 연구 및 탐사 목차 ● 망원경 발명 이전의 연구● 지상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 전파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 목성은 태양계의 다섯 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입니다. 태양 질량의 1,000분의 1배에 달하는 거대행성으로서 태양계에 있는 다른 모든 행성들을 합한 질량의 약 2.5배에 이릅니다. 목성은 토성과 마찬가지로 거대 기체 행성입니다. 목성은 고대 천문학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는데 로마인들은 목성에 로마 신화의 신인 유피테르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동양에서 목성의 명칭은 오행 중 하나인 나무(木)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목성은 지구에서 봤을 때 겉보기등급이 -2.94에 이르기 때문에 반사광이 그림자를 형성할 정도로 충분히 밝습니다. 그래서 목성은 밤하늘에서 평균적으로 달과 금성 다음으로 세 번째로 밝은 천체에 해당합니다... 2024. 12. 6.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인 금성 목차 ● 금성의 지형● 금성의 지질 금성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입니다. 태양주위를 224일 돌고 있으며 자전주기는 243일로 공전주기보다 깁니다, 달에 이어서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천체입니다. 가장 맑을 때의 밝기는 -4.5등급입니다. 금성이라는 명칭은 오행 중 하나인 금(金)에서 유래했으며 태백성이라고도 불렸습니다. 금성은 출현 시간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저녁 무렵에 나타나는 금성을 장경성 또는 개밥바라기라고 부르고 새벽 무렵에 나타나는 금성을 샛별 또는 명성이라고 부릅니다. 서양에서는 로마 신화 속의 미를 상징하는 여신의 이름을 따라서 비너스(Venus)라고 부릅니다. 지구형 행성인 금성은 화학조성과 크기가 지구와 매우 비슷한 면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의 "자매 행성"으로 불리기도 합니.. 2024. 12. 5.
인공위성의 기본구성 목차● 임무체계● 통신. 추적사령체계● 궤도. 자세제어체계● 전원체계● 구조체계 인공위성이란 인공적으로 행성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만들어진 물체들을 뜻합니다. 비행하는 궤도의 고도에 따라 크게 정지위성과 이동위성으로 나뉩니다. 사용목적에 따라 통신위성, 과학위성, 지구관측위성, 방송위성, 기상위성, 항해위성, 기술개발위성, 군사위성 등으로 구분됩니다. 궤도를 비행하는 스페이스 캡슐, 우주 왕복선, 우주 정거장도 인공위성에 해당하고, 지구로 떨어지지 않고 궤도를 돌고 있는 이미 성능이 다 소진된 로켓 추진장치나 빈 연료탱크 등도 인공위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무체계 위성이 궤도상에서 실시하는 계획상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치나 기기의 집합을 말합니다. 통신위성인 경우에는 중계하는 지상으로부터의 통신전파를 수.. 2024.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