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4 태양계(Solar System) 목차 ● 태양계(Solar System)● 태양계의 탐험과 발견● 태양계의 중요 구성 태양계(Solar System) 태양계(Solar System)는 항성인 태양과 그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합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형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형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행성 이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원반 모양의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2024. 12. 16. 지구와 달의 관계 목차 ● 달의 궤도● 지구에서 본모습● 달의 위상 변화(개기월식과 부분월식) 달은 지구와 45도 각도로 충돌함으로써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지구를 도는 위성이 되었습니다. 이런 인연으로 인하여 달은 지구에게 엄청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실제로 태양만큼이나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천체입니다. 만약에 달이 없다면 지금 현재 지구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을 것이며, 또한 달로 인하여 생명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되었습니다. 달의 궤도 달은 지구에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직접 삼각 측량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가 있습니다. 지구상의 떨어진 두 지점에서 동시에 달의 위치를 관측하면 시차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거리도 구할 수 있습니다. 달은 지구에서 약 38만 5천 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지구의 주.. 2024. 12. 15.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 '달' 목차 ●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 '달'● 달의 지형● 달의 기원설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 '달' 달은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이고, 태양계의 위성 중에서는 다섯 번째로 큰 위성입니다. 행성의 크기와 비교하여 자연위성 중에서 가장 큽니다. 지구의 중심에서부터 달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평균 38만 4400km로 지구가 약 30개가 들어가는 거리입니다. 이 정도 거리면 태양계의 모든 행성을 그 사이에 줄을 세우고도 조금 남는 거리입니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1AU)의 1/389 보다 작습니다. 달의 지름은 지구의 약 4분의 1, 태양의 약 400분의 1인 3,476 km입니다. 달의 부피는 지구의 약 1/50 정도이고, 표면 중력은 지구의 약 17%입니다. 달은 지구를 약 27.3일에 일주하고(공전 주기),.. 2024. 12. 14. 태양계의 8번째 행성, 해왕성 목차 ● 태양계의 8번째 행성, 해왕성● 해왕성의 발견● 해왕성의 기후 태양계의 8번째 행성,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입니다. 해왕(海王)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어로, 포세이돈(그리스의 신화명) 또는 넵투누스(로마의 신화명)를 번역한 것입니다. 해왕성은 8개 행성 중에서 직경으로는 4번째로 크고, 질량으로는 3번째로 큽니다. 해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17배, 질량이 지구의 약 15배인 쌍둥이 행성 천왕성보다 약간 더 무겁습니다. 해왕성과 태양의 평균 거리는 약 45억 1,300만 km이고,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약 30배에 해당합니다. 천문 기호는 포세이돈의 트라이던트(삼지창)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해왕성은 맨눈으로는 볼 수가 없기 때문에 경험적인 관측이 아닌 수학적 .. 2024. 12. 13. 태양계의 7번째 행성, 천왕성 목차 ● 태양계의 7번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의 발견● 천왕성의 위성 태양계의 7번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Ura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7번째 행성이고, 3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4번째로 질량이 큰 태양계의 행성입니다. 영어 이름 우라노스(Uranus)는 크로노스의 아버지이자 제우스의 할아버지인 그리스의 신 우라노스에서 따온 것입니다. 이 행성은 기존의 다섯 행성들처럼 맨눈으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늘에서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데다 아주 어둡기 때문에 그 존재가 오랫동안 인류에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천왕성은 여러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맨눈으로 관측되기도 했으나 그들은 모두 천왕성을 어두운 별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천왕성의 최초 발견자로 불리는 윌리엄 허셜도 천왕성을 아주 큰 망원경으로 보.. 2024. 12. 12. 오로라(aurora) 목차 ● 오로라의 어원과 종류● 오로라의 높이와 발광● 오로라의 활동과 원인 오로라의 어원과 종류 오로라(aurora)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 대기권 상층부의 자기장과 마찰을 해서 빛을 내는 광전 현상입니다. 이들 입자의 유래는 주로 태양에서 방출된 것이 대부분인데, 태양풍을 따라 지구 근처에 왔다가 지구의 자기장에 끌려서 대기로 진입하는 것입니다. 자극에 가까운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 즉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관측이 쉽기 때문에 극광이라고도 합니다. 북극에선 북극광, 남극에선 남극광으로 불립니다. 지구 이외에 화성, 목성, 토성 등에서도 오로라 현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로라라는 이름은 황금빛을 의미하는 단어 오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것은 동틀 녘 하늘에 태양에서 .. 2024. 12. 1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