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9 은하의 특이한 모습들 목차 ●상호작용 은하●폭발적 별생성 은하●활동은하핵 상호작용 은하 별과 별 사이의 충돌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에, 은하들 사이의 충돌 및 상호작용은 꽤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것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상호 작용의 정도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은하들이 정면으로 충돌하지 않고, 약간 비켜 나가는 경우에는 서로의 조석력 때문에 은하가 찢어지거나 늘어나고, 가스나 먼지들이 서로 교환되기도 합니다. 은하들이 직접 충돌하지만, 상대적인 운동량이 너무 커서 하나로 합쳐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은하들의 충돌의 경우에도, 별의 크기는 별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너무 작아서 두 은하의 별들이 직접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은하의 가스와 먼지들은 서로 강한 상호.. 2024. 12. 21. 혜성의 최후 목차 ● 태양계 바깥으로 방출● 휘발성 물질 고갈● 분해 및 충돌 태양계 바깥으로 방출 이론적으로는 혜성이 움직이는 속도가 아주 빠르면, 쌍곡선 궤도에 진입해 태양계를 탈출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태양계의 혜성은 목성 등 다른 천체와 상호작용하는 형태로만 방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예는 C/1980 E1 혜성으로서 기존에 공전 주기 710만 년인 궤도를 돌고 있었으나, 1980년 목성과 접근한 후 쌍곡선 궤도(혹은 쌍곡선 궤적, 어떠한 천체를 탈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탈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궤도 중심체를 탈출하는 물체의 궤도)로 바뀌어서 태양계를 탈출하고 있습니다. 1I오우무아무아(Oumuamua, 인류가 처음으로 관측한 태양계를 거쳐간 성간천체)나 2I/보리소프(2I/ B.. 2024. 12. 20. 혜성의 분류와 영향 목차 ● 혜성의 분류- 대혜성- 선그레이징 혜성- 특이 혜성- 큰 혜성- 센타우루스● 혜성의 영향- 유성우- 생명 혜성의 분류 - 대혜성평균적으로 10년에 한 번 정도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 찾아오는데, 이러한 혜성에 보통 대혜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어떠한 혜성이 대혜성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혜성의 밝기에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예측이 매우 어렵습니다. 넓게 보았을 때 혜성의 핵이 크고 활동을 많이 보이며, 태양에 가까이 접근하고, 근일점을 통과할 때 태양 반대편에 있지 않다면, 대혜성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1973년 코후테크 혜성은 이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서 많은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으나, 실제 밝기는 어두웠습니다. 3년 후 나타난 웨스트 혜성은 당초 .. 2024. 12. 19. 태양계의 기원설 목차 ● 초기 이론- 성운설- 조우설● 현대이론- 부가 이론- 솜뭉치/ 초기 행성 이론- 현대 성운설 초기 이론 - 성운설데카르트와 칸트, 라플라스(1796년)의 이론과 관찰에 바탕을 둔 과학적 첫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이론에 의하면, 느리게 회전하는 가스와 먼지의 구름덩어리가 냉각되고, 그것은 중력으로 말미암아 수축하였고, 수축함에 따라 이는 더욱 빠르게 회전하게 되었고, 회전축을 따라 평평해졌습니다. 이는 결국 질량중심 주변을 자유궤도로 도는 적도 물질로 구성된 렌즈형의 모양이 됩니다. 그 이후에 물질들은 여러 고리에 응집하게 됩니다. 응집된 덩어리들은 각각 조금씩 다른 비율로 궤도를 돌면서 각각의 고리에서 초기 행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초기 행성의 수축에 기초를 둔 축소판 과정을 통하여 위성이.. 2024. 12. 18.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목차 ● 태양●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태양계의 과거- 태양계의 미래 태양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서 지배하며, 인류가 그 표면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놓여 있는 유일한 항성입니다. 여기서 항성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를 말합니다. 질량은 태양계 구성 물질의 거의 전부를 차지합니다. 지구질량의 33만 2,900배나 되는 막대한 질량 때문에 태양의 내부는 핵융합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밀도가 유지될 수 있고, 융합 반응을 통하여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전자기 복사 형태로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게 됩니다. 전자기 복사 중 400~700 나노미터 띠 부분이 우리가 가시광선으로 부르는 영역이며,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태양 표면의 온도는 약 5,800 켈빈으로 분광형상 G2 V에 속하는데, 이.. 2024. 12. 17. 태양계(Solar System) 목차 ● 태양계(Solar System)● 태양계의 탐험과 발견● 태양계의 중요 구성 태양계(Solar System) 태양계(Solar System)는 항성인 태양과 그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합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형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형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행성 이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원반 모양의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2024. 12. 16.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