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초기 이론
- 성운설
- 조우설
● 현대이론
- 부가 이론
- 솜뭉치/ 초기 행성 이론
- 현대 성운설
초기 이론
- 성운설
데카르트와 칸트, 라플라스(1796년)의 이론과 관찰에 바탕을 둔 과학적 첫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이론에 의하면, 느리게 회전하는 가스와 먼지의 구름덩어리가 냉각되고, 그것은 중력으로 말미암아 수축하였고, 수축함에 따라 이는 더욱 빠르게 회전하게 되었고, 회전축을 따라 평평해졌습니다. 이는 결국 질량중심 주변을 자유궤도로 도는 적도 물질로 구성된 렌즈형의 모양이 됩니다. 그 이후에 물질들은 여러 고리에 응집하게 됩니다. 응집된 덩어리들은 각각 조금씩 다른 비율로 궤도를 돌면서 각각의 고리에서 초기 행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초기 행성의 수축에 기초를 둔 축소판 과정을 통하여 위성이 형성되며, 최초의 먼지와 가스 덩어리의 중심 덩어리가 수축하며 태양이 형성됩니다.
행성과 태양이 하나의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는 일원론적인 이 이론은 치명적인 결점이 있었습니다. 이 이론은 태양계의 대부분의 각운동량이 태양 안에 있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태양계 질량의 99.86%의 질량을 가지고 있는 태양은 태양계 형성 시의 각운동량의 오직 0.5%만을 가집니다. 그 외 나머지 각운동량은 행성의 궤도에 포함됩니다. 이로 인하여 19세기의 모든 이론은 성공적이지 못하였습니다. 비록 과학적 원리에 바탕을 한 이론일지라도 관찰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결국은 폐기되어야 했습니다.
- 조우설
성운설 이후 제임스 진스(1917년)가 태양과 행성이 다른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었다는 이원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이론에 의하면, 태양을 지나쳐간 하나의 무거운 항성이 태양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가는 실을 뽑아내게 됩니다. 중력적으로 불안정한 필라멘트는 부서져서 각각의 압축물이 초기 행성을 형성합니다. 이 초기 행성은 태양 주변을 지나쳐서 멀어져 가는 항성에 의하여 끌어당겨져서 태양을 중심으로 한 궤도에 남게 됩니다. 최초의 근일점을 지날 때에 위의 축소판 과정이 일어나 초기 위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이론은 처음에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곧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해럴드 제프리(1929년)는 순환의 개념에 대한 수학적인 논의에 근거하여, 태양과 비슷한 실질 밀도를 가진 목성의 경우 비슷한 회전 주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 헨리 노리스 러셀(1935년)은 태양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질이 태양 반지름의 4배 거리(=수성 궤도 안) 이상 가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해 냈습니다. 이것은 각운동량에 관한 또 다른 문제였습니다. 그 뒤에 라이먼 스피처(1939년)는 태양에서 나온 물질이 목성의 질량을 가지게 된다면, 이는 106K의 온도를 가지게 되며, 이 경우 행성으로 수축하기보다는 폭발한다는 것을 계산해 냈습니다. 이후에 태양의 핵반응으로 즉각 소모되었을 리튬과 베릴륨, 붕소가 지구의 지각에서 발견된다는 것과 관련한 반대 주장이 등장하였습니다. 항성과 항성 사이 공간은 매우 넓기 때문에 원시 태양과 다른 별이 만날 확률이 극히 희박하다는 것도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라플라스와 진스의 이론은 과학에 바탕을 두고 있었지만, 결국 과학적 비판에 굴복되었습니다. 비록 다른 종류이기는 하지만, 두 이론은 모두 각운동량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이론이 제시한 새로운 생각은 현대 이론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 이론
- 부가 이론
1944년 소련 유성기어장치 과학자 오토 슈미트와 유리 등은 새로운 종류의 이원적인 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 그는 망원경을 통하여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저온 고밀도의 구름덩어리가 은하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때에 포획된 물질은 처음에는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다가 차츰 원 궤도로 전환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로 입자 간의 충돌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입자의 크기도 커지고 서로의 인력도 커지게 되면서 점점 더 크게 성장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그는 원시 태양이 이 구름덩어리를 지나가면서 이 먼지, 가스 덩어리를 포획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슈미트는 에너지를 고려할 때에, 두 개의 고립된 천체가 있으면, 한 천체의 구성 물질은 다른 천체에게 포획되지 않는다고 믿었고, 또 일부 에너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3번째 천체, 즉 다른 별을 도입했습니다. 3번째 천체의 필요로 말미암아 이 이론은 다소 타당성을 잃게 되었지만, 슈미트의 주장은 구름덩어리가 광범위한 지역에 있었고, '구름덩어리+별'이 다체형 시스템(Many-body system)처럼 행동한다는 것에서부터 타당성을 가지지 못했던 것입니다.
- 솜뭉치/초기 행성 이론
1960년에, 윌리엄 맥크레아(William McCrea)는 행성의 형성이 성단의 형성과 연결된다는, 또한 태양의 느린 회전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 윌리엄 맥크레아의 이론은 거대한 집단을 형성하는 가스와 먼지의 구름덩어리에서 시작됩니다. 이 이론에 따르자면, 난류로 말미암아 가스의 흐름끼리 서로 충돌이 생기게 되면, 평균 이상의 밀도 지역을 형성하게 되는데, 솜뭉치로 지시된 이 고밀도 지역은 구름덩어리를 통과하여 움직이면서 충돌할 때마다 합쳐집니다. 그 뒤에 거대한 집합체가 형성되면, 이것은 또 다른 솜뭉치를 끌어들여서 초기 항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무작위로 어느 방향에서나 초기 항성으로 솜뭉치가 합쳐져서 들어가면서 초기 항성의 최종 각운동량은 작아지게 됩니다.
이 이론의 기본 전제조건에서는 각 솜뭉치는 지구의 약 3배의 질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목성과 같은 거대한 행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솜뭉치가 결합해야 했었습니다. 행성을 형성할 이 집합체는 현재의 행성의 각운동량보다 훨씬 큰 각운동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맥크레아는 이 명백한 한계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초기 행성이 수축하면서 이는 회전적으로 불안정해졌을 것이며, 이 상태에서 초기 행성은 아마도 질량비 8:1의 두 개의 부분으로 갈라졌을 것입니다. 질량중심과 관련해서 더 빨리 움직이는, 즉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 대부분의 각운동량을 가지고 태양계로부터 탈출했을 것입니다. 분리된 두 부분의 연결부에서 작은 응축 덩어리가 형성되고, 이것이 큰 부분에 의하여 위성 중 하나로 유지되어 남게 되었을 것입니다. 맥크레아는 지구형 행성을 설명하기 위해 위와 같은 분열 과정이 초기 행성의 고밀도 핵에서 일어났다고 가정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태양계 안쪽 부분에서는 큰 탈출 속도를 가진, 두 부분 모두 태양계 안에 남아서 지구-화성 쌍과 금성-수성 쌍을 형성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몇몇 매개변수를 현재의 태양의 수치에서 가져왔고, 다른 매개변수는 태양-행성-위성 시스템을 이 이론이 가장 잘 설명할 수 있게끔 선택한 값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솜뭉치 모양의 먼지-가스 덩어리는 불안정하고, 솜뭉치의 충돌과 다음 충돌 사이의 시간보다 더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솜뭉치의 충돌과 행성의 형성이 이 이론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현대 성운설
최근 가장 이상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태양계 기원설로 라플라스의 이론에 근간을 두고 있는 이론입니다. 그 시작은 가스와 먼지로 된 불균질 한 성운입니다.
현대 성운설에 따르면, 태초의 이 성운은 난류 현상으로 자전 운동을 하게 되고, 각운동량을 가지게 됩니다. 각운동량은 그 값이 물체의 질량과 그것의 분포도와 회전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물체의 질량이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분포하거나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그 값이 커집니다. 만약에 회전하는 물체의 크기가 작아지면, 분포도가 감소하며 각운동량의 값도 감소할 수밖에 없지만, 동일한 각운동량의 값을 보존하기 위하여 물체는 더욱 빨리 돌게 됩니다.
성운은 자체의 인력으로 말미암아 수축하게 되고, 이러한 수축이 진행되면 성운은 자전 때문에 타원형을 이루면서 각운동량을 보존하기 위해서 자전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그 결과 성운 중심부의 밀도는 급속히 증가하여 질량이 큰 덩어리가 형성되는데, 이것이 원시 태양입니다. 원시 태양은 중력 수축을 함으로써 막대한 열을 방출하게 됩니다. 동시에 수축한 성운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많은 먼지입자와 얼음조각, 이산화탄소 그리고 암모니아와 메탄 등과 함께 섞여서 큰 입자를 형성하게 되고, 이들 입자가 수십 억 개 모여서 소행성 크기의 미행성이 형성됩니다. 이 미행성은 서로의 강한 중력으로 인하여 끌어당겨져서 충돌함으로써 급격히 성장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원시 행성이 형성되게 됩니다.
물론 현대 성운설이 가장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이라 평가는 받고 있지만, 이 이론 역시 한계를 드러내는 점이 있습니다. 먼저 최초의 성운에서 난류 현상이 강하게 일어남으로써 자전 운동이 일어나게 되지만, 이러한 난류가 강하게 일어날 경우에는 입자가 모여들어 거대한 미행성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 밖에도 성운의 가스 덩어리의 소실 과정과 행성의 위치, 혜성과 소행성 등에 대한 명확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못합니다.